본문 바로가기

javascript12

Number ✅ Number 숫자형은 숫자를 처리하기 위해 고안된 자료형이다. 💡 숫자 용어 정리 1. 정수 : 0을 기준으로 하는 양수와 음수 2. 실수 : 소수점을 포함하는 모든 수 3. 유효숫자 : 수의 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수.주로 소수점 첫째자리에서부터 늘어져 있는 0들을 제외한 모든 수 0.0075 ==> 75 2.4300 ==> 2.430 8230 ==> 823​ 📍부동소수점이 일어나는 이유 🤔 부동소수점이란? 실수를 표현할 때 소수점의 위치를 고정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computer 에서 10진수 연산이 정확하지 않음 0.1이 컴퓨터 입장에선 무한수 반복문 안에 0.1씩 증가하는 코드를 혹시 작성하게 된다면 예측 불가한 값이 생성된다. // 0.1 + 0.2 (0.1씩 늘어갈 때) 반환값: 0.300.. 2023. 4. 4.
[간단 프로그램]lotto 프로그램 만들기 ✅ 주요 기능 1 부터 45까지의 정수가 랜덤으로 화면에 나오는 프로그램 1. 1 - 45 랜덤 정수 만들기 num 변수 생성 후 Math.random()를 사용해서 랜덤으로 숫자를 나오게 한 뒤 45까지 수가 나와야 하므로 * 45를 해줬다. 그 뒤에는 +1을 더해서 0의 자리 숫자는 나오지 않게 했다. 그리고 난 후 콘솔에 찍어보면 소수점이 있는 수가 출력되는데 소수점을 없애고 정수만 출력하기 위해 parseInt() 함수를 사용했다. var num = parseInt(Math.random() * 45 + 1); 📍 Math.random() : 0 ~ 1까지의 난수를 생성하는 함수 📍 parseInt() : 문자열을 숫자로 반환하는 함수지만 정수값만 리턴하는 특징이 있어 소수점을 자를때 도 사용됨 .. 2023. 3. 28.
심볼 symbol 객체의 키는 주로 문자형으로 생성하고 접근한다. 아래 예제를 보면 숫자형과 불린형으로 key로 넣어 객체를 반환할때 문자형으로 반환되는 것을 볼 수 있다. 실제로 접근할 때도 문자형으로 접근할 수 있다. const obj = { 1: '숫자 1', false: '거짓', } console.log(Object.keys(obj)); //['1', 'flase'] 반환 console.log(obj['1']); // '숫자 1' 반환 // 숫자형 1과 불린형 false 를 key 값으로 넣어지만 문자형으로 전환되면서 반환 심볼형이란? 문자형으로 객체 프로퍼티 키를 반환하는것도 가능하고 한개 더 가능한것이 원시형 타입중 하나인 '심볼형' 이다. 심볼은 유일한 식별자를 만들때 주로 사용한다. 이 말이 좀 어려운데 .. 2023. 2. 22.
객체에서 쓸 수 있는 메소드들 Object.assign() : 객체 복제 기존에 있던 객체를 복사하여 사용하고 싶을땐 어떻게 해야할까? 단, 기존의 객체의 키와 값은 그대로 유지 되어야 한다. 그때 사용하는 메소드가 Object.assign()이다. const user = { name: 'Mike', } const newUser = Object.assign({}, user); newUser.name = 'tom'; // 새로 만든 객체의 이름 값은 'tom'으로 변경 console.log(newUser); // {name: 'tom'} 으로 변경되어 출력 console.log(user); // 기존 객체의 키와 값은 변하지 않고 {name: 'Mike'} 출력 위 같은 메소드 말고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복사해서 쓰면 어떻게 될까? /.. 2023. 2. 18.